Surprise Me!

[아는기자]쓰레기 풍선 원점 타격, 어떻게?

2024-09-23 419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시작합니다. <br> <br>외교안보국제부 김민곤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김 기자, 우리 군이 '단호한 군사적 조치'라는 표현을 꺼내 들면서 경고에 나섰는데요, 여기서 말하는 조치는 뭐고 어떻게 한다는 건가요? <br> <br>[답변1] <br>우리 군이 내세울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조치는 북한의 쓰레기 풍선 부양 원점을 공격하는 겁니다.<br><br>현재 북한은 황해도 지역을 중심으로 풍선을 날려보내고 있는데요, <br><br>특정 장소에 차량과 장비를 보관한 채 주변을 이동하면서 풍선을 살포하는 만큼 이들 지점을 K9 자주포와 같은 무기 체계로 사격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경고성으로 부양 원점 주변을 겨냥해 간접적으로 사격하거나 장비 파괴와 살상을 위해 직접 타격하는 방안이 예상 시나리오로 꼽힙니다. <br> <br>[질문2] 그런데 지금 당장 풍선 살포 지역에 공격을 하겠다는 건 아니죠? <br> <br>[답변2] <br>네 지금 당장은 아닙니다. <br><br>우리 군은 오늘 '단호한 군사적 조치'의 전제 조건을 명시했습니다.  <br><br>"국민 안전에 심각한 위해가 발생하거나 선을 넘었다고 판단될 경우"라는 가정을 둔 겁니다.<br><br>오늘 오전 브리핑 내용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> <br>[이성준 /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] <br>"(화재가 나서 사람이 돌아가시거나 쓰레기 더미에 맞아서 사람이 돌아가시면 선을 넘었다, 이렇게 판단을 할 수 있는 건지요?) 가능성은 있다고 봅니다. 생명에 위해가 없다면 아직까지는 그러한(선을 넘은)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…." <br><br>북한의 쓰레기 풍선이 직접적으로 원인이 돼 우리 국민이 사망하면 '레드라인'이라고 볼 수 있는 겁니다. <br><br>또는 현재 도발 양상과 달리 생화학 물질이나 폭약을 담아 내려보내는 경우도 우리 군이 설정한 선을 넘은 상황입니다.<br><br>UN헌장 역시 "무력 공격이 발생한 경우 고유한 자위권 행사를 침해하지 않는다"고 규정하고 있는 만큼 북한이 무력 공격에 나섰다고 충분히 볼 만한 상황이 있어야 우리 군도 보복에 나설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[질문3] 만약 우리 군이 강력하고 단호한 조치에 나선다면 북한은 가만히 있을까요? <br> <br>[답변3] <br>가정적인 상황이라 섣불리 말씀드리긴 어렵지만, 과거 사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예상해볼 수는 있을 겁니다. <br><br>지난 2015년 8월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 이후 우리 군이 대북확성기를 가동하자 북한은 열흘 뒤 고사총과 야포를 남쪽으로 발사했는데요, <br><br>우리 군은 즉각 자주포를 동원해 29발의 사격으로 반격했고, 북한의 준전시상황 선포에도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'선조치 후보고'를 강조하며 엄중한 대응을 요구하자 결국 북한의 유감 표명으로 사태는 마무리됐습니다.<br><br>[김관진 / 당시 대통령 국가안보실장(2015년 8월 25일)] <br>"북측은 최근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남측 지역에서 발생한 지뢰 폭발로 남측 군인들이 부상을 당한 것에 대하여 유감을 표명하였다." <br><br>이에 비춰 보자면 북한의 도발이 선을 넘을 경우 우리도 즉각적이고 강력하게 보복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만 전쟁을 막을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. <br><br>Q.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